본문 바로가기
여운잔광의 질병 예방!

발목관절 고정술 총정리 - 원인, 증상, 장점, 단점

by 여운잔광 2024. 6.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건강을

위하여 질병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여운잔광입니다.

오늘 소개 해 드릴 내용은 바로

발목관절 고정술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발목관절 고정술이란 무엇인가?

2. 발목관절 고정술 원인

3. 발목관절 고정술 증상

4. 발목관절 고정술 장점

5. 발목관절 고정술 단점
1. 발목관절 고정술이란 무엇인가?

발목관절 고정술은 정강이뼈와 발목의 관절을 이루는 거골 사이를 인위적으로 고정하여 뼈를 붙이는 수술입니다.

발목을 보여주는 그림

2. 발목관절 고정술 원인
  • 발목 퇴행성 관절염: 연골이 마모되어 발목 관절에 통증과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발목 퇴행성 관절염이 심해지면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발목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하지만 발목 인공관절 수술이 적합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외상성 관절염: 발목에 심한 외상을 입어 연골이나 인대가 손상된 경우 외상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관절염으로 인해 발목 관절의 불안정성이 심하거나 만성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적인 자가 면역 질환으로 여러 관절에 염증과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해 발목 관절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원인

① 발목 관절의 심각한 불안정성: 만성적인 발목 염좌나 인대 파열로 인해 발목 관절이 심하게 불안정한 경우

② 말초 혈관 질환: 당뇨병과 같은 말초 혈관 질환으로 인해 발목 관절의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뼈와 연골이 손상된 경우

③ 돌출된 뼈: 발목뼈에 돌출된 뼈가 있고 이로 인해 통증이나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

 

3. 발목관절 고정술  증상

☞ 통증

  • 수술 후에는 절개 부위에 통증과 불편함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처방된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지만 일부 환자는 만성적인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에 부담이 가중되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염증

  • 수술 후에는 절개 부위가 붓고 붉어질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이지만 염증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감염

  • 수술 후 드물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의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절개 부위의 붉어짐과 붓기 등이 있습니다.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운동제한

  •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걷기, 뛰기, 달리기 등의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발목 관절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발목관절 고정술 장점
  • 통증 완화: 발목 퇴행성 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으로 인해 심한 발목 통증을 겪는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을 통해 통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통증을 완화하기 어려운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관절 기능 개선: 발목관절 고정술은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불안정한 발목 관절을 안정시키고 기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발목 염좌나 인대 파열로 인해 발목 관절이 불안정한 경우 발목관절 고정술을 통해 관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 빠른 회복: 발목 인공관절 수술에 비해 회복속도가 빠릅니다. 발목 인공관절 수술은 수술 후 장기간의 재활이 필요하지만 발목관절 고정술은 비교적 단순한 수술이며 회복기간도 짧습니다. 발목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빠른 회복을 원하는 환자에게 발목관절 고정술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낮은 수술 위험: 발목 인공관절 수술에 비해 수술 위험이 낮습니다. 발목 인공관절 수술은 감염, 인공관절 이완, 골수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발목관절 고정술은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수술 위험을 최소화하고 싶은 환자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
5. 발목관절 고정술 단점
  • 발목 움직임 제한: 발목을 구부리거나 펴는 움직임이 제한되어 걷기, 뛰기, 달리기 등의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인접 관절에 영향: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의 통증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 관절염 재발 가능성: 발목 자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관절에서 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만성 통증 발생 가능성: 발목관절 고정술 후에도 만성적인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남아있는 통증이거나 인접 관절에 발생하는 통증일 수 있습니다.
  • 운동 제한: 스포츠 활동의 능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이렇게 발목관절 고정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발목관절 고정술은 발목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지만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건 아닙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운잔광이었습니다.

반응형